목록쉽지 않은 일상 살아내기 (89)
하루하루 사는 법

욕실 악세서리(Bathroom Accessories)-양치컵걸이, 비누걸이, 휴지걸이, 수건걸이 등-가 너무 오래되서 꼴이 엉망이었다. 그래서 내내 바꾸고 싶다는 생각만 하고 어떻게 바꿔야 할지 방법을 알지 못했다. 그런데 동생이 욕실 액세서리 바꾸는 것은 너무 쉽다면서 내게 어떻게 바꿀지 알려주었다. 쇠뿔도 단김에 빼라고 그 말을 듣자 마자 난 동생과 함께 욕실 악세서리를 인터넷에서 검색해보았다. 지난 토요일 가장 저렴해보이는 곳을 선택해서 주문했다. 욕실 악세서리 4종(양치컵걸이, 비누걸이, 휴지걸이, 긴 수건걸이) 두 세트와 배송비까지 포함해서 22 500원. 배송비가 3 500원. 한 세트를 주문하면 배송비가 3천원. 두 세트를 주문하면 3500원이었다. 따라서 욕실 악세서리 4종(SW800) 한..

올해는 11월 30일부터 새벽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면서 겨울이 시작되었다. 당연히 베란다의 화초들은 그 전에 실내로 옮기기 시작했다. 세 번에 걸쳐서 화초들을 실내로 들여놓았다. 구매한 것은 없고 선물로 받거나 주워오거나 한 화초들인데, 어쩌다 보니까 우리집 화초들은 모두 더운 지방에서 건너온 것들이다. 이들과 실내에서 겨울을 잘 나려면, 빛, 온도, 습도에 대한 습성을 잘 익히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우선 이웃 아파트 화단에서 주워온 벤자민 고무나무에서 꺾꽂이해서 키운 벤자민고무나무가 모두 10개.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기꺼이 나눠주는데도 이렇게 많다. 벤자민 고무나무는 원산지가 인도다. 생육온도가 21-25도이고 13도가 최저기온이며 습도는 40-70%가 적정. 한 마디로 늦봄, 초여름, 초가을 기온..

투명페트병과 캔을 버리고 푼돈을 벌 수 있는 '네프론' 로봇을 알게 된 것은 지난 봄 시청에서였다. 네프론은 '쓰레기를 돈과 자원으로 만드는 순환자원 회수로봇'. 주식회사 수퍼빈에서 만든 로봇이다. 이 회사는 산업용 로봇을 제작하는 회사라고 한다. 4월 당시, 언젠가 이 로봇을 이용해보리라 생각하며 '수퍼빈(superbin)' 앱을 다운 받았다. 앱을 다운받고 이 기기를 실제로 이용해서 포인트를 벌기에 무려 6개월이 걸렸다. 일단 미네랄워터를 사먹지 않아 투명페트병이 생길 일이 없고 캔은 어떤 종류를 넣으면 되는지 확신이 서질 않았다. 시청 후문에 세워진 네프론 두 대, 투명페트병 네프론과 캔 네프론에는 각각 그림으로 취하는 쓰레기에 대한 정보를 표시해두었다. 캔은 마치 콜라캔 같은 것만 되지 않을까 싶..

평소처럼 하천가를 산책하는데 야옹거리는 소리가 들렸다. 채 눈도 뜨지 못하는 새끼 고양이가 포도박스에 담요와 함께 넣어져 있었다. 상자곽에는 '가져가 키우세요!'라고 적혀 있다. 고양이가 불쌍해서 친구는 가져간 '물이라도 주자'고 한다. 하지만 고양이는 물을 마실 생각이 없나 보다. 거절당했다. 고양이를 키울 생각이 없는 나는 새끼 고양이가 불쌍했지만 누군가 데려가는 사람이 있겠지, 하면서 그 자리를 떠났다. 그리고 하천을 가로지른 다리를 건너 건너편으로 산책을 이어가려고 하는데... 영 마음이 찝찝하다. 친구는 하천가를 지나가는 사람들이 많으니까, 누군가 고양이를 데려갈 거라고 하면서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자꾸 뒤를 돌아보며 새끼 고양이가 담긴 상자를 기웃거리는 사람들을 살펴보게 되었다. 할아..

봄마다 한살림에서 유기배양토 18리터를 사서 베란다에서 허브도 키우고 화초도 키운다. 부추나 파, 차조기도 키울 겸해서 한살림에서 잎채소용 그로우백도 샀는데 생각보다 그로백에서 채소키우기가 쉽지 않았다. 식물들끼리 경쟁해서 그랬던 것 같다. 작은 화분을 여러 개 이용해서 차조기, 파를 키우는 것이 경쟁을 줄여주서 야채들이 더 잘 자라는 것 같다. 물론 상추같은 잎채소는 그로우백에서 잘 자랄 수도 있을 것 같다. 시도해보지 않아서 모르겠다. 아무튼 빈 그로우백을 지렁이 키우는 데 사용하기로 했다. 지렁이는 한살림 유기배양토에서 나온 것을 그로우백으로 옮겼다. 흙은 야채를 키우고 난 뒤 영양분이 감소한 흙을 담았다. 매일 마시는 커피찌꺼기나 홍차찌꺼기, 허브티의 남은 잎들을 지렁이와 흙을 담아둔 그로우백에 ..

대파나 중파를 다듬고 나면 파뿌리가 생긴다. 이때 파뿌리를 이용할 방법은 두 가지. 먼저, 한 가지 방법은 파뿌리를 채수에 사용하는 것이다. 음식에 이용할 파는 파뿌리부분을 짧게 자라내고 잘라된 파뿌리는 여러 번 물로 씻는다. 파머리부분이 흙이 묻어 완벽하게 잘 닦이지 않을 때도 많다. 칫솔을 이용해서 최대한 깨끗하게 닦아준다. 세척이 끝난 파뿌리는 채수를 끓이는 데 사용하면 좋다. 흙이 조금 남아 있어도 괜찮다. 물론 나는 유기농업으로 생산한 파만 이용한다. 시중에 유통되는 파는 농약절임이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농약을 많이 사용해서 키우기 때문에 절대 채수에 사용하지 않는다. 아무튼 파뿌리와 다시마 등을 이용해서 국물로 이용할 채수를 끓이면 맛이 무척 좋다. 파뿌리를 이용할 두 번째 방법은 파를 키우..

우리 집에는 그 어떤 것보다 책이 넘쳐난다. 세월이 흐르면서 더는 필요 없는 책들이 늘어나고 책 때문에 삶이 더 무거워지는 느낌을 받게 되면서 책을 정리하기 시작한 지도 제법 되었다. 지금껏 책을 처분하기 위해 여러 방법을 사용했다. 1. 우선 도서관에 기증하기. 이번 달에도 난 시립 도서관에 7권의 책을 기증했다. 그런데 도서관에 기증할 수 있는 책은 최근 5년 동안 출간된 책만 받는다. 그렇다면 올해가 2022년이니까, 2018년부터 지금까지 출간된 책이 해당된다. 하지만 오래된 책이 많은 내게는 도서관에 기증하는 것만으로 책을 줄이기 어렵다. 2. 시립 도서관에는 도서교환코너가 있다. 이곳에 안 읽는 책을 꽂아두고 내가 필요한 책을 거기서 구해올 수 있다. 오늘 난 도서관에 책 8권을 도서교환코너에..

평소 우유는 잘 마시지 않지만 우유를 살 때는 한살림 유기농 우유를 구입한다. 그런데 우유를 마시고 나면 우유갑(우유곽)이 남는데, 매 주 한 차례 내놓는 종이쓰레기로 내놓을 수도 있겠지만 나는 한살림 매장에 가져다 주는 쪽을 선택했다. 한살림의 되살림 운동에 동참하기 위해서다.평소 다니는 한살림매장의 입구 벽에 위와 같이 재사용병과 우유갑, 멸균팩을 모은다고 안내문이 붙어 있다.한살림 조합원인 내 경우는 재사용 유리병과 우유갑을 꼐끗이 씻어 말려서 되돌려주면 포인트도 준다.물론 조합원이 아닌 사람들도 마시고 난 후 시중의 우유갑을 깨끗하게 말려서 되돌려줌으로써 되살림운동에 동참할 수 있다.되돌려준 우유갑은 재생휴지로 탄생한다.재사용병의 경우는 매장에 가져가기 보다는 집으로 물품을 배송해 주는 배달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