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230)
하루하루 사는 법

동네 구름다리 양쪽으로 중국단풍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다. 아니, 정확히 말해서 중국단풍과 벚나무 산책길이 조성되었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빠른 속도로 자라는 중국단풍들은 천천히 자라는 벚나무를 기다려주지 않았다. 그래서 벚나무는 차례차례 고사했고 잘려졌다. 지금 살아남은 벚나무가 몇 그루 없다. 살아남은 벚나무 중 한 그루가 사진 속 벚나무다. 고개를 최대한 중앙으로 숙여서 중국단풍이 가리는 햇살을 조금이라도 더 받아보려고 애쓴 노력이 눈물겹다. 나무나 사람이나 환경이 나쁘면 그 나쁜 환경 속에서 생존할 기회를 스스로 찾아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게 살아남는 생명력은 참으로 강인하다 싶다. 그 누구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살 길을 찾아낸 벚나무. 나는 이 벚나무를 바라볼 때마다 경탄한다. 지난..

아마 2009년이었던가? 평생교육센터에 다니면서 수채화를 그렸었다. 당시 그림을 몇 장 그리지 못하고 중단하고 말았다. 인터넷으로 수강신청하는 것이 힘들어서. 내가 처음 그린 풍경은 몽셍미셸. 오래 전 친구들이랑 몽셍미셸에 놀러갔었던 기억이 아직도 선명하다. 수 년이 흘러 다른 친구들과 또 다시 몽셍미셸을 찾았을 때 몽셍미셸은 좀 달라져 있었다. 처음 방문 때보다 확실히 감동이 덜했다. 하지만 조수간만의 차이로 섬이 되었다, 육지랑 연결되었다 하는 그곳은 충분히 낭만적인 매력이 있는 장소다. 이 그림을 그린 후 수 년이 흘러 나는 다시 몽셍미셸을 찾았다. 몽셍미셸은 또 달라져 있었다. 세월이 흐른 후 또 가고 싶었던 곳이었나 보다. 나는 두번째로 프로방스 마을 풍경을 그리고 싶었다. 프랑스의 프로방스지방..

저녁 산책길에 멀리 노란꽃이 보여서 그곳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잎과 줄기만 자라 녹색빛이던 곳이 어느덧 노란색으로 바뀐 것이다. 노란 꽃창포 사이에는 보라빛 붓꽃도 보였다. 피어 있는 꽃들이 만드는 풍경의 색깔도 좋았지만 무엇보다 궁금증이 풀려서 좋았다. 꽃을 보다보니 화장실이 급해졌다. 가까운 화장실을 찾다가 평소 가지 않던 길을 걷게 되었다. 바라만 보던 다리 위에서 하천을 내려다 보니까 좀전에 보았던 노란꽃창포꽃밭이 보인다. 그리고 평소 다니던 산책길도 한 눈에 들어온다. 주위를 둘러보았다. 내가 풍경 속에 있을 때와 달리 풍경 밖으로 나와서 그 풍경을 바라보니 정말 달라 보인다. 숲 속에서 나무는 볼 수 있어도 숲을 제대로 조망하기 어렵다고 했던가. 하천이 지는 저녁햇살로 붉어진 모습에 마음이 설..

키우던 라벤다를 마음껏 자라도록 내버려두었더니 마치 산발한 머리처럼 제 마음대로 우거졌다. 그래서 라벤다 가지를 잘라내자 싶었다. 잘라낸 라벤다 가지는 작은 꽃병에 꽂아서 식탁에 놓았다. 식탁 앞에 앉으니 라벤다향이 그윽하다. 밤에는 이 꽃병을 머리맡으로 옮겨둘 생각이다. 라벤다향은 마음에 안정을 가져다 줘 수면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라벤다 향을 맡으며 잠자리에 들면 좋은 꿈을 꾸지 않을까? 가지를 많이 잘라냈지만 여전히 라벤다는 꼴이 엉망이다. 조금 있다가 좀더 잘라낼까 싶다. 한 때는 라벤다를 여러 종류 사다가 키우기도 했지만 긴 여행을 떠나면서 지인에게 모두 주었었다. 지금 키우는 마리오 라벤다(잉글리시 라벤다 품종)는 동네친구가 선물로 준 것이다. 라벤다는 예쁘게 키우기가 정말 힘들..

요즘 아침마다 기쁨을 주는 청로. 아침에는 사과를 먹는 걸 즐기지만 요즘 유기농 사과 구하기가 힘든 시기라서 유기농 청로로 대체했다. 청로는 올 봄에 처음 먹어 본 감귤인데, 달콤하면서도 상큼한 맛이 매력적이다. 즙이 많고 껍질도 잘 까진다. 하지만 씨가 좀 많다. 청로는 만감류에 속한다. 하지만 다른 만감류에 비해서도 더 늦게 출하된다. 만감은 우리나라 감귤나무와 당귤나무(오렌지)를 교배해서 생산한 것이라고 한다. 만감류에 속하는 감귤 품종은 다양하다. 일본산 만감류와 국산 만감류가 있다. 내가 그동안 먹어 본 만감류로는 한라봉, 천혜향, 레드향, 청견이 있고 이 품종들은 모두 일본 품종이라고 한다. 천혜향은 12월 중하순, 레드향은 1월 중순에서 2월초, 한라봉은 3,4월에 먹으면 맛이 좋다고 한다...

베란다에서 내내 키우다가 아파트 화단에 옮겨심은 동백나무, 지난 겨울이 너무 추워서 얼어 죽었나? 내내 걱정했다. 새잎이 나질 않아서. 아파트 화단의 다른 동백나무들은 지난 3월말에 모두 빨간 꽃을 피웠었다. 지난 4월 중순, 철쭉꽃이 만발하고 튤립꽃이 만개했을 때도 이 동백나무는 내내 잠을 자고 있었던 것이다. 겨울눈을 발견했을 때야 비로소 죽은 것은 아니구나, 싶었다. 주변 나무들은 여름을 향해 부지런히 달려가고 있는 시간, 철쭉꽃 마저 지고 있는 지금, 동백나무는 겨우 지난 겨울의 얼어붙은 몸을 풀고 조금씩 겨울잠에서 깨어났다. 봄햇살 아래 서 있는 동백나무가 초라해보이지만 죽지 않고 살아 있어 그냥 기쁘다.

베란다 샤시 공사에 앞서 베란다 물건들을 정리하는 중에 그동안 베란다에 둔 큰 테이블을 처리해야 했다. 이 테이블은 사무실 때문에 맞춘 것인데 사무실을 정리한 후 집에 챙겨온 것이었다. 그동안 화분을 놓아두는 등 나름 사용하긴 했지만 너무 커서 실내에 둘 수도 없고 애물단지였다. 그래서 처분하기로 마음먹었는데, 가구로 내놓으면 나름 비용이 좀 들 것 같아서 우선 철제 다리와 합판인 상판을 분리시켜보기로 했다. 나사못으로 아래서 조여둔 것이라서 드라이버를 이용하니 분리가 그리 어렵지 않았다. 상판은 창고로 사용하는 베란다 바닥에 깔았다. 그리고 철제 다리는 고철로 내어두면 무료수거해주니까 비용이 따로 들지 않았다. 철제 다리(흰색)를 내놓은 후 다시 살펴보니 경비아저씨께서 다리를 절반으로 잘라놓았다.

아침부터 스팸 문자로 기분이 별로네. 일단 '국외발신'이라면서 내 이름을 정확히 명시하며 시작했다. 공인인증서가 국외에서 발급되었다나? 그리고 문의하라는 전화번호는 031-376-1498. KB사고예방부서라나?! 발신전화번호는 001- 3141- 6160914. 알아보나마나 피싱문자겠지만 근처KB은행지점에 전화를 해보았다. 전화해보니까 일단 국외발신 전화번호는 KB은행과 관련없는 번호. 그리고 국내 번호도 KB은행과 무관한 번호. 아침부터 너무 수고했다. 피싱문자 너무 자주 날라온다. 이름과 전화번호, 거래은행을 정확히 알고 있는 것을 보니까 내 정보가 유출되었나보다. 짜증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