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230)
하루하루 사는 법
점심식사에는 앞으로 잔멸치볶음을 때때로 곁들여 먹을 생각이다. 잔멸치가 너무 짜니까, 호두와 베리를 곁들여서 단맛과 고소한 맛을 더했다. 땅콩이 있으면 땅콩과 같이 볶을 생각이다. 원래 잔멸치는 내장까지 같이 먹으니 콜레스테롤이 높은 식품이지만 점심때만 조금씩 먹어보려고 한다.목이버섯은 삶아서 참기름에 찍어먹으면 맛이 좋다. 짠맛을 선호하면 참기름에 소금을 조금 첨가해도 된다. 식사 후에는 껍질째 먹는 무농약 사과 반쪽, 곶감 반쪽, 호두 1알을 먹었다.
평소에는 오분도미에 흑미와 검정콩을 조금 넣고 밥을 짓는데, 이번에는 찹쌀현미를 보탰다.구운 김, 구운 표고버섯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메뉴라서 즐겨먹는다. 특히 생김, 구운김은 아침에 먹는 걸 선호한다. 낫또도 마찬가지고. 그밖에 사과와 당근을 갈아서 먹었지만 사진은 올리지 않았다.점심 때는 친구와 같이 식사를 해서 반찬양이 많아졌다. 1단계 식이요법에서는 달걀 노른자를 먹지 않았기에 먹지 못했던 달걀찜을 해서 먹었다.시금치도 소금과 참기름을 이용해서 무쳐서 먹었다. 된장국은 요즘은 주로 배추와 근대, 또는 아욱, 또는 시금치 등을 넣어서 먹는다. 얼마 전부터 딸기를 점심식사후에 먹고 있다. 제철 과일이라서 맛도 영양도 좋고, 딸기 속의 펙틴이라는 섬유소는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아침식사로 떡국떡을 이용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것 같다. 된장국에 표고버섯과 쑥, 그리고 떡국떡을 넣어 끓였다. 될수록이면 아침식사에 낫또를 함께 먹으려고 한다. 사과와 당근을 간 것을 아침에 먹는 것이 좋다. 개인적으로 사과와 당근을 좋아하기도 하고.점심때는 가자미를 곁들였다. 1단계 식이요법보다는 좀더 식사에 양념한 반찬이 늘어났다. 볶은 당근, 우엉간장조림(약간의 설탕), 봄동된장무침, 현미유에 구운 두부를 양념한 것.매 끼니 반찬을 새로 하는 것은 아니다. 2, 3끼 정도는 같은 반찬을 새로운 반찬과 섞어서 하는 것이 식사준비를 좀더 편하게 해줘서 식이요법을 포기하지 않게 만든다.식후에 딸기를 먹었는데 사진을 찍지는 않았다.데운 두부에 백김치를 곁들였다. 백김치의 짭짤하고 새콤한 맛이 두부의 고소..
송숙현의 [초간단 셀프마사지(나비의 활주로, 2017)]를 도서관에서 우연히 발견한 것은 행운이었다. 이 책은 우리에게 다음의 메시지를 전한다. 1. 많이 움직일수록 건강하다. 현대인은 움직임이 줄어들어 문제라는 것.따라서 운동을 해야 신체의 노화를 지체시킬 수 있다. 일상 속 운동을 실천하기에 앞서 올바른 자세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근육량을 늘여라.나이가 들면 근육이 감소하면서 지방이 축적된다. 따라서 근육수축 범위가 좁아지고 가동범위가 좁아진다. 관절에서 소리가 나는 것은 근육이 느슨해졌다는 뜻.근육이 느슨해지면 몸의 비대칭이 초래된다. 근육퇴행을 막깅 ㅟ해 근력강화가 필요. 근력을 키우면 근막의 탄력성 회복, 근육노화방지, 몸에 힘이 생긴다. 3. 바른 자세를 유지하려고 노력하라.근육통은 ..
지난 12월 26일 건강검진때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300mg/dl이 넘었다. 보름 후 1월 10일 보건소에서 콜레스테롤 검사했을 때는 그보다 40mg/dl이 넘게 떨어졌다. 그리고 약 한 달 동안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을 했다. 마침내 정상치로 돌아왔다. 지난 연말부터 감안한다면 한 달 반만에 300이 넘는 콜레스테롤 수치가 정상이 된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은 책을 통해서 정보를 구했다. (자세한 내용은 앞선 포스팅, 그리고 앞으로 올릴 포스팅을 통해서 살펴보시길 바란다.) 하지만 내 상황에 맞게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용했다. 그러면 지난 1달동안 나는 어떤 식사를 하고 어떤 운동을 했는지 여기 써보려고 한다. 1. 1/18-2/18 식단1/18 아침-뜰깨탕에 끓인 밥, 찐 당근 1개/아침 점심 사이-진피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