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하루 사는 법
tv안테나선와 유선전화선 방안 연결 부분을 '블랭크(맹카바)'로 가리기, 너무 쉽다 본문
![](https://blog.kakaocdn.net/dn/bfWbbK/btsyPAmwkFO/0yPkV3PRmtVlNMKmu7hWJ1/img.jpg)
내 방 벽에는 사용하지 않는 'tv안테나선과 유선전화선을 연결하는 부분'이 누렇게 변색된 채 벽의 오점.
집에 TV도 유선전화도 없는데, 이런 것이 벽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이 정말 괴로웠지만 어떻게 해야 할지 그동안 해결책을 찾지 못하다가 방을 새로 도배하고 나니 절대적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고 싶었다.
이것은 아마도 내가 사는 아파트가 건설되었을 때 설치된 후 지금껏 그대로 방치된 것 같다. 그렇다면 30년도 더 되었다는 이야기.헉!
![](https://blog.kakaocdn.net/dn/weBLd/btsyQMGyZzf/kEK86xKlY1zq7mlFQ1gyNk/img.png)
블랭크로 가리는 데 필요한 물품은 코팅된 장갑, 일자 드라이버와 십자 드라이버, 그리고 니퍼.
물론 블랭크(대)도 준비해야겠다.
블랭크(대)는 블랭크(소)의 두 배 크기로 정사각형이다.
블랭크는 규격제품이라서 크기를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
블랭크(대)는 1700원에 구입했다.
![](https://blog.kakaocdn.net/dn/pEnYj/btsyNpFKZVz/uEq81pKGpTqHnKswxDTQzK/img.jpg)
뚜껑을 1자 드라이버로 분리했다.
세월의 흔적인 먼지와 얼룩이 적나라하다.
나사가 총 7개가 박혀 있다.
![](https://blog.kakaocdn.net/dn/uAgeG/btsyOHsHMKK/QXtf5KtvUsgKiZqc66YkR1/img.jpg)
십자 드라이버로 이 나사를 하나씩 풀어나갔다.
(전기선이 아니기에 차단기를 내리지는 않았다. 하지만 코팅된 장갑을 끼고 작업을 진행했다.)
일단 외부틀의 나사 네 개를 풀었더니 가장자리 틀이 분리가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BoIW9/btsyMyJLhIP/jKKMfmD0rAkiYFLRYQTQ2k/img.jpg)
외부 틀을 벗겨내고 TV안테나 선을 연결하는 부분을 지탱하는 나사 하나 (어찌 하나 뿐!?), 그리고 유선전화선을 연결하는 부분을 지탱하는 나사둘을 십자드라이버로 풀어냈다.
![](https://blog.kakaocdn.net/dn/Np4Mn/btsyPC5HGWT/71pfrHPCbl1x0yEm3GNaQ0/img.jpg)
먼저 유선전화선이 연결되는 부분의 나사 둘을 풀어내고 선을 고정한 나사 네 개도 십자 드라이버로 풀었다.
그랬더니 네 개의 파란 선이 드러났다.
구리선이 드러난 부분은 니퍼로 구리선을 절단했다.
![](https://blog.kakaocdn.net/dn/crXpSy/btsyLLQlYMu/eK1Ri4APelMx8ICBClhdPK/img.jpg)
TV안테나선을 연결하는 부분 역시 고정시킨 나사 하나를 풀고 안테나선이 연결된 부분의 나사 총 여섯개를 모두 풀었다.
이번에는 구리선부분을 니퍼로 절단하지 않았다. 혹시나 선이 짧아서 다음에 이 집에 이사오는 사람이 이 안테나선을 이용할 때를 생각해서다.
![](https://blog.kakaocdn.net/dn/bdEaLL/btsyPwRX7ep/n5KdFR2t8xt2uciQ8pELDK/img.jpg)
선들은 모두 하나씩 절연테이프로 감았다. 사진 속에 보면 안테나 선, 전화선에 감긴 검정테이프가 보인다.
선을 밀어넣고 블랭크(대)의 틀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구멍에 밀어넣으려는 찰나, 틀이 들어가질 않았다.
한 쪽 모서리가 튀어나와서.
살펴보니, 석고보드다. 그래서 드라이버로 그 모서리 튀어나온 부분을 좀 부셨다.
그랬더니 틀이 제대로 자리를 잡았다.
원래 고정 나사가 세 개뿐이라서 원래 있던 나사 세 개로 고정했다.
![](https://blog.kakaocdn.net/dn/dcrOM3/btsyMAVapph/WfjJnKyZthpf2oY5wuTt91/img.jpg)
그리고 블랭크 뚜껑을 덮었다. 완성!
깨끗한 도배지 위에 새하얀 블랭크가 깔끔하다. 만족.